본문 바로가기

728x90

iOS(Swift)

(20)
xcode simulator 리스트 안나올 때 xcode에서 iOS simulator 리스트가 나오지 않을 때가 있다 프로젝트 타겟의 architectures 가 맞지 않아서 생긴 경우일 수도 있다. 해결방법 - 프로젝트 TARGETS로 들어간다 - Build Settings > Architectures 에서 Architectures를 Standard Architectures(arm64를 선택한다
iOS unable to process request - PLA update available 에러 iOS 빌드 시 Signing & Capabilities 에서 unable to process request - PLA update available 관련 에러가 발생 해당 에러는 iOS Developer 에 등록된 계정에서 변경된 계정 정책에 동의하지 않아서 생긴 문제 https://developer.apple.com/account 에 접속하여 계정 정책 동의하면 해결 됨
iOS, iPad Safari 개발자 모드 켜기 iOS나 iPad의 Safari에 띄워논 화면에 대한 개발자 모드(콘솔 확인) 켜는 방법 * iOS나 iPad 에서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기기를 맥북에 연결하여 맥북에서 확인해야 함. 1. iOS나 iPad 의 설정 > Safari > 고급 > 웹속성 켜기 - 설정에 들어가서 Safari를 누르고 하단에 고급탭에 들어가서 웹 속성 켜기 2. 맥북의 Safari 열기 3. 맥북 Safari 상단 탭에서 Safari > 설정 > 고급 > 메뉴 막대에서 개발자용 메뉴 보기 클릭 4. 상단 개발자용에서 연결된 기기 확인 주의: iOS와 iPad가 연결되어 있어야 하며 처음 연결할 시 이 기기에 대해서 신뢰한다고 동의해야 하며 Safari를 켜놓은 상태에서 확인하려는 웹사이트를 띄워 놓아야 함. (화면도 켜져 있..
could not find module for target 'x86_64-apple-ios-simulator' found arm64 arm64-apple-ios-simulator 오류 Xcode의 버전이 업그레이드 되고 M1 칩의 등장으로 IOS나 MacOS를 Xcode에서 빌드할 때 에러가 발생함. 빌드 과정에서 제외시킬 아키텍쳐에 arm64를 추가해줌으로써 해결 1. Build Active Architecture Only 옵션 변경 현재 연결된 기기를 감지해 해당 기기에 맞는 아키텍쳐용 빌드만 생성하고자 할 때 사용 2. Excluded Architectures 옵션 변경 빌드에서 제외할 아키텍쳐를 추가
Swift로 서버 만들기 (Vapor) Swift 서버 사이드 프레임워크에는 Vapor, Perfect, Kitura 등이 있는데 이중 Vapor 에 관한 포스팅 Vapor - Swift 로 만들 수 있는 서버 - Xcode 11.4 이상 필요 - Swift 5.2 이상의 버전에서 사용 가능 ( swift --version을 터미널에 쳐서 확인 ) https://docs.vapor.codes/install/macos/ Vapor: Install → macOS Install on macOS To use Vapor on macOS, you will need Swift 5.2 or greater. Swift and all of its dependencies come bundled with Xcode. Install Xcode Install Xcod..
pod install error - Don't forget to include the Crash Report log file underDiagnosticReports directory in bug reports Pod install 했을 때 발생하는 에러 (맥북 M1 환경에서 발생하는 에러라고 함) 에러 내용 해결 방법 $ sudo arch -x86_64 gem install ffi $ arch -x86_64 pod install 1) Ruby FFI 라이브러리 업데이트 후 재설치 M1은 arm 기반이라 arch 명령을 수행해보면 arm64 라고 나오기 때문에 ffi를 설치할 때 아키텍처를 x86_64로 지정하여 설치해야 함. 2) pod install 그냥 pod install 명령을 사용하면 아키텍쳐 관련된 호환성 문제(아키텍쳐를 arm64로 인식)가 계속 발생하기 때문에 여기서도 아키텍처를 x86_64로 지정해서 실행해야 함. 이후 .xcworkspace 파일이 생기는데 이것으로 xcode를 열어서 작업.
CocoaPod 설치 및 pod 설치 CocoaPod 설치 1. 터미널 창 열고 명령어 입력 sudo gem install cocoapods * 꼭 sudo 붙여서 입력할 것. 안그러면 접근 권한제한으로 인해 다른 폴더에서 pod파일 생성 못 할 수도 있음 2. Pod를 설치할 디렉토리 경로로 이동하여 명령어 입력으로 Pod 생성 pod init 3. Podfile 수정 open Podfile 명령어로 파일 열고 ( #Pods for 프로젝트 이름 ) 아래에 추가할 코드 추가 4. pod install 입력
Xcode GitLab Branche 새로 만들기 Xcode에서 연결된 깃랩 새로운 브랜치로 만들어서 커밋 및 푸시 하기 1. Branche 생성하는 곳으로 이동 후 New Branch from ~ 생성 시 해당 화면이 나오는데 from에 있는 Branch 명에 해당하는 코드들이 초기값으로 세팅 됨 2. Branch가 생성되고 자동으로 생성된 Branch로 잡힘 3. 이후는 커밋 및 푸시하는 것 동일 * 다른 Branch로 코드를 변경하고 싶을 때는 변경하고 싶은 Branch 우클릭하여 check out 하면 됨

728x90